티스토리 뷰
저는 이 단어를
처음 들어보는 것 같아요~
어렸을 때 저희 또래 아이들보다
좀 다른 성장속도를 느꼈던
아이들이 간혹 있었지만
이것이 질병일수도 있었다는 게
참 놀라운 일인 거 같아요.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알아두셔야 할거 같은 이 질병.
정확히 알아봅시다!
우리 아이는 괜찮나요??
성조숙증이란 무엇일까요?
성조숙증이란
사춘기 발달이 같은 또래의 아이들보다
비정상적으로 빠른 경우를 의미합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여아의 경우 8세 이전에
유방 발달이 시작되는 경우,
남아의 경우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기 시작하는 경우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
2차 성장이 시작되는
연령에 대한 각 나라별, 인종별,
시대별 정상치가 필요하며,
최근 세계적으로 사춘기의 시작 시기가
여아의 경우 과거에 비해
더 빨라지는 추세를 보입니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1.5세 정도 먼저
사춘기가 시작하며
키 성장 폭은
20~25cm 정도 됩니다.
남아의 경우 여아에 비해
사춘기가 1~2년 늦게 시작하며
키 성장 크기는
25~30cm 정도로
여아보다 더 커서,
최종 신장은
평균 남자가 여자에 비해
12cm 정도 더 큽니다.
이 증상은 5000명 중 한명꼴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편이기는 하나
주된 원인은 성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서
빠른 2차 성장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또한 가족력이 어느 정도 있어서
엄마가 성조숙증을
경험하셨더라면
자녀에게서도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여아들의 경우는
남아들에 비하여 3배 이상
발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아이들의 경우에는
사춘기를 빠르게 겪게 되는 등
건강상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이
없는 게 대부분인데요.
하지만 아주 드물게 뇌나 척추의
종양 그리고 갑상선 기능 저하,
척수손상 등의 상태로
관련이 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의 주 원인은 무엇일까요?
성조숙증 의심 증상으로
검사를 받아보고자
진료를 보러 오시는
부모님들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급격히 살이 찐 것이 원인인지,
갑자기 가슴에 멍울이 잡힌다거나
머리냄새가 난다거나,
음모가 보인다거나
여아 초경의 조짐이 보인다는 등
너무 이른 2차 성장으로
걱정을 하게 됩니다.
과거 부모세대에 비해서
영양 상태도 좋아졌고,
전체적으로 성장환경이 나아졌지만,
한편으로는 영양과잉이나
소아비만, 환경호르몬,
어린이 스트레스 증가 등
성조숙증 원인이
다양하고 많아지면서
키 성장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코로나 19로 체중이 쉽게
증가할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스트레스가 가중되면서
아이들의 사춘기를 재촉하는
결과가 초래된 것이지요.
1) 유전
성조숙증은 유전이
70~80%로 가장 큽니다.
따라서 부모 중 한쪽이라도
어릴 때 사춘기가 빨랐다면
자녀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소아 비만 & 영양과잉
소아비만은
성조숙증의 가장 크고
확실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요인입니다.
살이 찌면서
지방세포가 많아지면
더 많은 '렙틴' 호르몬을
만들고 분비하는데,
이는 생식호르몬의
활성화를 자극하여
사춘기를 앞당깁니다.
사춘기를
일찍 시작되도록 할 뿐 아니라
이미 시작된 사춘기의
진행 속도를 가속화하면서
성장판이 더욱
닫치도록 만들기도 합니다.
부모님들께서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이것저것 많이 먹이는 건강식들이
오히려 영양과잉을 일으켜
너무 빠르게 성장하도록
만들기도 하는데요.
장어나 사골 등의
스태미너 식품들은
고단백, 고지방으로
살을 찌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 과잉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과도한 영양제 복용,
너무 많은 양의 육류 섭취도
성장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습니다.
3) 환경호르몬
주로 플라스틱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환경호르몬은
피부 접촉이나 호흡기,
식품 섭취 등을 통해
체내로 흘러들어오는데,
오랜 시간 축적되어
호르몬 이상반응을 일으키며
성조숙증, ADHD, 생식기능 저하,
기형 태아 출산 등을 야기합니다.
많이들 알고 있는
종이영수증, 플라스틱 식기류,
방향제품(디퓨저, 향초 등),
향이 있는 바디워시나 샴푸,
살충제, 통조림 등뿐만 아니라
지방이 많은 육류에도 들어있습니다.
먹이사슬의 상위 포식자로
갈수록 체내에 축적된
환경호르몬이 많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키 성장을 위해
일부러 육류를 너무 많이 먹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특히 지방 부분은 조심해야 해요.
4) 스트레스
교우관계나 부모님과의 관계,
학업, 외모 등
아이들의 스트레스 요인 또한
성인들과 비슷합니다.
스트레스 또한 호르몬 불균형의
원인이 되어
성조숙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게다가 요즘은 맞벌이 부모로 인해
아이들이 혼자 있는 시간이 많고,
스스로 무언가를
해내야 하는 일이 많은데
너무 어린아이들에게는
이 또한 알게 모르게
스트레스가 된다고 합니다.
5) 선정적 매체 노출 증가
스마트폰 사용이 많아지면서
아이들도 다양한 매체,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아이들에게도
무분별하게 선정적인 컨텐츠에 노출되는
부정적인 면이 문제가 되고 있어요.
시각을 통한 자극은
성호르몬 분비 자극으로 이어져
정서적으로 일찍 성숙하고
사춘기 또한 일찍
찾아오게 만들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 검사 시기를 놓쳐선 안 되는 이유는?
아이의 신체적 · 정신적인 성장은
균형을 맞춰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아직 키도
충분히 크지 않은 상태에서,
아직 정서적으로 성숙하지 않고
사춘기를 일찍 시작해버린다면
괴리에서 오는
정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신체적 문제,
무엇보다 최종 키가
남들보다
적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유전 키 보다도
못클 수 있는 것이지요.
키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성조숙증 검사나 치료 시에도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사춘기가 시작되고
약 2년이 지난 시점부터,
여아의 경우
초경부터,
남아의 경우
중학교 2학년 정도부터는
성장판 닫히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하다면
그전에 시작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또 많은 부모들이
걱정하는 것 중 하나가
여아의 빠른 초경인데요.
아직 어린 딸아이가
너무 일찍 초경을 시작하면
겪게 될 불편함과 두려움이
걱정되기도 하고
생리대 사용이 서툴러
밖에서 혹여 실수를 하지는 않을까
염려되는 것이 당연합니다.
초경 전에도 여자아이들은
가슴이 나오는 등
육안으로 식별이 되는
사춘기 증상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학교에서
체육시간을 기피하거나
그전에는 잘 다녔던 수영장,
목욕탕을 싫어하고
옷 입는 것에도 민감하여
투정과 짜증도 많아지지요.
게다가 빠른 초경은
초경이 늦은 아이들에 비해
생리불순이나 극심한 생리통을
겪을 가능성도 더욱 높으며,
빨리 시작한 만큼 폐경도
일찍 올 수 있습니다.
또한, 성호르몬에
신체가 오래 노출될수록
유방이나 자궁, 난소 등
생식기관에
종양이 생길 가능성도 큽니다.
성조숙증 검사 적정 시기는?
여아 유치원 ~ 초등학교 1, 2학년
남아 초등학교 1~3학년
성조숙증 검사는
예방 차원에서
검진 개념으로 하기도 하며,
늦더라도 의심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받아보아야
조기 치료를 통해 정서적,
신체적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엄마나 아빠가 어릴 때
사춘기가 빨랐다면
자녀는 어릴 때부터
미리미리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게다가 아이가 비만이거나
현재 키가 또래보다
작은 편이거나
유전키가 작은 편이라면
조기 사춘기로 인해
최종 키가 작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사상하부- 뇌하수체 축의 활성화는
성선자극 호르몬분비 호르본을 투여한 후
15~30분 간격으로 2시간 동안 혈액에서
황체화 호르몬(LH), 난포자극 호르몬(FSH)
농도를 측정합니다.
황체화 호르몬의 최고 농도가
5IU/L 이상이면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일부 여아에서는
계속 5IU/L 미만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떄는 반복적으로
3~6개월 간격으로
재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골 성숙은 좌측 손을 X-ray
촬영하여 측정하는데,
자기 실제 연령에 비하여
사춘기가 많이 진행되었을수록,
진행 속도가 빠를수록
증가되어 있으며,
증가 속도도 빠릅니다.
그러나 초기에는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뇌 자기공명영상(MRI), 복부 초음파,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CT) 등은
다른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 시행하며,
일부 아이들에서는
성장호르몬 자극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등을
같이 시행하기도 합니다.
남자아이가 생식세포종
(생식세포에서 유래하는 종양)
이 있으면
고환이 커지면서
성조숙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종양 표식자(hCG, AFP)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검사 외에도
반드시 3~6개월 간격으로
신장 변화를 관찰해야
사춘기 진행 속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 치료 방법은?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원인 질환의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원인인
특발성(원인 질환이 없는)
성조숙증의 경우에는
모든 아이들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성인 키가 작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빠르게 진행하는 경우,
심리적인 문제를 일으킬 것
같은 경우에 치료를 합니다.
치료는 성선자극 호르몬분비
호르몬 유하체를
28일 간격으로
피하 또는 근육 주사합니다.
치료 후 신장 증가 속도가
감소합니다.
또한 여아에서는
유방이 작아지고
월경이 사라질 수 있으며,
남아에서는
고환의 크기가 감소하고
음경 발기나 자위행위,
공격적인 행동이 줄어듭니다.
부모 키가 큰 경우에는
꾸준히 치료를 받는 경우,
치료를 일찍 시작할수록
치료 전에 예측한
어른 키보다
더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중
신장 증가 속도가
너무 작아지면
치료로 인한
최종 성인 키의 증가가
뚜렷하지 않을 수 있어,
필요하면 성장 호르몬을
함께 투여해야 합니다.
이 약제는 호르몬에 의해
증식되는 일부 암(전립선암 등)에서
호르몬 분비를 줄일 목적으로
고식적 치료제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백혈병처럼 암세포와
일반 세포들을 죽이는
전통적인 암 치료제와는
확연히 다릅니다.
아이의 미래를 생각하신다면
빠르게 파악을 하셔야 하고
치료를 진행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식에는 양파 그리고
당근, 고구마, 강황,
당근 등이 있으며,
원푸드만을 고집하여
식단을 짜기보다는
견과류나 과일,
곡물, 녹색채소 등으로
균형을 맞추어 여러 가지의
식단을 짜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에게
많은 관심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꾸준한 운동과 함께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부모님들께서
지켜주셔야 될 거 같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고요~
맛있는 식사 따뜻하게 많이 드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