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알아두면 좋은
생활 속 필수 사자성어
얼아나 알고 계세요?
전 모릅니다......ㅋㅋㅋ
생활을 하다 보면
알게 모르게 많이 등장하지요.
특히 요즘은 예능 프로그램에서
사자성어 게임도 많이 하며
즐거움을 주기도 합니다.
같이 문제를 맞추고 싶은데
모를 때가 더 많아요.. (멍! 청! 이!!)
그래서 공부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너무 무식한 거 같아서요..ㅋㅋㅋ
같이 하실래요???
사자성어의 뜻풀이
1. 두문불출[杜門不出]
杜(두)-닫다. 門(문)-문. 不(불)-아니다. 出(출)-나가다.
▶ 풀이 : 문을 걸어 잠그고 나가지 않는다.
세상과 담을 쌓고 집 안에만 틀어박혀 있다.
예) 그는 취업에 실패하더니 한동안 두문불출하고 있다.
2. 마이동풍[馬耳東風]
馬(마)-말. 耳(이)-귀. 東(동)-동녘. 風(풍)-바람.
▶ 풀이 : 말 귀에 동풍(동풍=봄바람),
따스한 봄바람이 말의 귀를 스쳐 봐야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다.
이는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그냥 흘려버리는 것을 말한다.
예) 그 친구한텐 어떤 말을 해도 마이동풍이니까 그냥 포기해.
3. 사상누각[沙上樓閣]
沙(사)-모래. 上(상)-위. 樓(루)-다락. 閣(각)-문설주
▶ 풀이 :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을 말함.
모래 위에 지은 집은 기초가 약해서
오래 견디지 못한다.
오래 견디지 못할 만한 일이나
실현 불가능한 일에 비유한다.
예) 그가 말한 정책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4. 삼고초려[三顧草廬]
三(삼)-셋. 顧(고)-돌아보다. 草(초)-풀. 廬(려)-오두막집.
▶ 풀이 : 오두막집을 세 번 찾아가다.
즉, 인재를 얻기 위해서 자신을 굽히고
상대방에게 예를 다하는 태도를 말한다.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제갈량의 오두막집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 것.
예) 그분을 모시기 위해 삼고초려하여 끝내 성공했어.
5. 새옹지마[塞翁之馬]
塞(새)-변방. 翁(옹)-늙은이. 之(지)-~의. 馬(마)-말.
▶ 풀이 : 변방 늙은이의 말.
변방에 사는 늙은이의 말과 관련된
고사에서 나온 사자성어.
인생사 길흉화복은
어찌 될지 알 수 없다는 뜻이다.
예) 인생사 새옹지마니 그 일은 너무 걱정하지 말게.
곧 좋은 일이 있을 거야.
6. 어불성설[語不成設]
語(어)-말씀. 不(불)-아니다. 成(성)-이루다. 設(설)-말씀.
▶ 풀이 : 말이 이치를 이루지 못하다.
즉, 말이 전혀 맞지 않다.
예) 그 말이 어불성설이야.
그러니 네 의견을 들어줄 수 없다.
7. 오비이락[烏飛梨落]
烏(오)-까마귀. 飛(비)-날다. 梨(리)-배. 落(락)-떨어지다.
▶ 풀이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우연히도 때가 같아
공연히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
예) 그 일이 오비이락이 될 줄 누가 알았겠어.
그러니 이번은 네가 양보해야겠다.
8. 우공이산[愚公移山]
愚(우)-어리석다. 公(공)-그대. 移(이)-옮기다. 山(산)-산.
▶ 풀이 : 우공이 산을 옮기다.
무슨 일이든 쉼 없는 노력을 하면 반드시 이루어진다.
예) 우공이산의 마음가짐만 가진다면
목표하는 일은 반드시 이루어져.
9. 유비무환[有備無患]
有(유)-있다. 備(비)-갖추다. 無(무)-없다. 患(환)-근심.
▶ 풀이 : 준비가 있으면 걱정이 없다.
미리미리 준비해 좋으면 나중에 걱정할 것이 없다.
예) 혹시 모르니 유비무환의 정신으로 다음 미션에 대비하자.
10. 진퇴양난[進退兩難]
進(진)-나아가다. 退(퇴)-물러가다. 兩(양)-둘. 難(난)-어렵다.
▶ 풀이 : 나아가고 물러가는 것이 둘 다 어렵다.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난처한 상황.
예)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니 진퇴양난이구나.
11. 과유불급[過猶不及]
過(과)-지나칠. 猶(유)-오히려. 不(불)-아닐. 及(급)-미칠.
▶ 풀이 : 지나치게 무언가를 하는 것은
모자라는 것보다 못하다는 뜻이다.
예) 너무 지나친 행동은
안 하는 것보다 못하다.
12. 고진감래[苦盡甘來]
苦(고)-쓸. 盡(진)-다할. 甘(감)-달. 來(래)-올.
▶ 풀이 :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온다는 의미.
지금 힘든 상황이 있더라도 버티면
꼭 좋은 결과가 올 것이라는 뜻이다.
예) 힘내자!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
13. 각골난망[刻骨難忘]
刻(각)-새길. 骨(골)-뼈. 難(난)-어려울. 忘(망)-잊을.
▶ 풀이 : 다른 사람에게 입은 은덕에 대한 고마움이
마음속 깊숙이 사무치어 결코 잊을 수 없다는 뜻이다.
예) 은덕을 입은 고마움을 뼛속 깊이 새겨 잊지 않음.
14. 토고납신[吐故納新]
吐(토)-토할. 故(고)-연고. 納(납)-들일. 新(신)-새.
▶ 풀이 : 묵은 것을 토해내고 새것을 들이마신다.
예) 오래되고 좋지 않은 것은 버리고
새롭고 좋은 것을 받아들인다.
15. 대기만성[大器晩成]
大(대)-큰. 器(기)-그릇. 晩(만)-늦을. 成(성)-이룰.
▶ 풀이 : 큰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말이다.
예)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자세는
대기만성한 사람들의 특징이지.
16. 백발백중[百發百中]
百(백)-일백. 發(발)-쏘다. 百(백)-일백. 中(중)-가운데.
▶ 풀이 : 백 번 쏘아 백 번 맞는다.
예) 쏘기만 하면 명중함.
계획이 예정대로 들어맞음.
무슨 일이든지 생각하는 대로 다 들어맞음.
17. 분골쇄신[粉骨碎身]
粉(분)-가루. 骨(골)-뼈. 碎(쇄)-부술. 身(신)-몸.
▶ 풀이 :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
예) 있는 힘을 다해 놀력함.
또는 남을 위하여 수고를 아끼지 않음.
18. 미사여구[美辭麗句]
美(미)-아름다울. 辭(사)-말씀. 麗(여)-고울. 句(구)-글귀.
▶ 풀이 : 아름다운 말과 글귀라는 뜻이다.
예) 아름다운 문장.
아름다운 말로 꾸민 듣기 좋은 글귀.
19. 등하불명[燈下不明]
燈(등)- 등불. 下(하)-아래. 不(불)-아닐. 明(명)-밝을 명.
▶ 풀이 : 등잔 밑이 어둡다는 문구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로,
너무 가까이 있는 상황은
오히려 멀리 있는 것보다
모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예) 남의 일을 잘 알고 잘못된 점이 보이지만
본인의 일은 알아차리기 어렵다는 의미.
20. 명경지수[明鏡止水]
明(명)- 밝을. 鏡(경)-거울. 止(지)-그칠. 水(수)-물.
▶ 풀이 : 거울과 같이 맑고 잔잔한 물을 일컫는 말이다.
예) 마음이 고요하고 잡념과 욕심 없이
아주 맑고 깨끗하다는 의미.
우리 생활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사자성어도 있지만
가끔은 새로운
사자성어로 사용해서
한마디 건네 보는 것은
어떨까요??
아마
제 주변인들은...
미쳤니??? 하겠지요??ㅋㅋ
뜻이 좋아서
외우고 싶은
사자성어 들이였습니다.
이 정도는 외워서
생활에서 사용해도
좋을 듯합니다요~~
오늘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맛있는 식사 따뜻하게 꼬~~~ 옥 하세요!!